한국의 푸르른 산속에 자리한 덩굴식물은 마치 자연의 시린 숨결을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종덩굴, 세잎종덩굴, 검은종덩굴, 그리고 아름다운 요강나물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함께 자연의 향기 속으로 떠나보시죠.
한국의덩굴식물, 종덩굴, 세잎종덩굴, 검은종덩굴, 요강나물
종덩굴
한국의 산속에서 자라는 종덩굴 미나리아재빗과 속에서 피어나는 덩굴식물로, 종덩굴의 학명은 Clematis fusca var. violacea입니다. 종덩굴은 자주색의 아름다운 꽃을 피워 여름을 물들이는 여름야생화입니다. 금착만, 좀덩굴, 제비종덩굴, 수염종덩굴 등 다양한 이명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종덩굴의 꽃은 7∼8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피어나며 종 모양으로 여름 산속에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종덩굴은 중부 이북지방의 산기슭이나 숲속의 음습지에서 볼수있습니다. 길이 2.5m에 이르는 덩굴식물로, 어린 잎은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의가 필요한데, 이 종덩굴은 유독성 식물로 분류되어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약용으로는 뿌리를 사용합니다.
세잎종덩굴
미나리아재빗과에 속한 세잎종덩굴은 학명이 Clematis koreana Kom.으로, 전국 높은 산 정상 부근의 햇볓이 잘 드는 키 작은 관목 사이에서 자라는 낙엽덩굴식물입니다. 길이 3m 안팎에 자라는 목본(나무)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지리산위령선이나 누른종덩굴로도 불리며, 화려한 연한 황색의 꽃이 여름에 피어나 깊은 산골짜기의 숲 가장자리에서 우리를 맞이합니다.
세잎종덩굴은 긴털이 돋보이는 잎자루와 8월에 피어나는 꽃이 독특한 종모양으로 피어납니다. 황색이나 검은 자줏빛의 종처럼 생긴 꽃은 마치 자연의 예술작품 같습니다. 세잎종덩굴은 한국의 다양한 지역, 남부부터 북부까지 넓게 퍼져 깊은 산골짜기의 숲 가장자리에서 볼수있는데, 희귀 및 몇종위기 식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꽃이기도 합니다.
세잎종덩굴은 유독성 식물로서 약용으로 뿌리줄기가 사용되며, 설악산에서 자라는 왕세잎종덩굴(var. biternata)은 잎이 2회 세장의 작은잎으로 나와 세잎종덩굴과 구분할수 있습니다.
검은종덩굴
검은종덩굴, 학명으로는 Clematis fusca TURCZ. 불리는 검은종덩굴꽃은 여름야생화로 꽃이피는시기는 6월에서 8월 사이입니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자란 채로 자라나 길이 0.6~2m 정도에 달하는데, 그 특유의 검은 자주색 꽃이 양성화로 피어 아래를 향해 2송이가 달립니다. 겉면에 어두운 갈색털이 빽빽하게 난 탓에 꽃 전체가 검게 보이기도 하며 모양은 종의 모양으로 피는 꽃입니다.
검은종덩굴은 낙엽 활엽 만경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원산지는 한국이며, 한국과 만주 지역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검은종덩굴은 햇볓이 잘 드는 계곡 주위나 습기있는 가장자리에서 자생합니다. 9월에서 10월에는 열매를 맺습니다. 개채수가 많지 않아 만나기가 쉽지 않은 꽃이기도 하며, 검종덩굴 또는 무궁화종덩굴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요강나물
요강은 오래전 한국에서는 실내에서 오줌을 받을때 쓰던 생활용품입니다. 요강의 이름이 붙은 요강나물이지만 사실 요강과는 어느구석도 닮지 않았다는 점이 재미있는 야생화입니다. 줄기가 곧게 서 선종덩굴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요강나물은 설악산 이북의 높은 지대 혹은 중부지방 높은 산 정상 부근 능선의 햇빛이 잘들고 물빠짐이 좋은 초원에서 자랍니다. 이 낙엽 반관목의 학명은 Clematis fusca var. coreana (H. Lev. & Vaniot) Nakai로서, 주변습도가 높고 안개가 자주 피는 환경을 선호합니다. 키는 30~100㎝로 다양한 크기로 자라나며, 5월부터 6월에는 아름다운 꽃을 피워 자연 속을 물들입니다.
요강나물의 꽃은 줄기 끝에 아래로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흑갈색이며 작은 털이 많이 나 있어 마치 작은 별들이 반짝이는 듯이 보이기도 합니다. 열매는 9월경에 나타나며, 길이 약 3㎝ 정도의 갈색으로 된 깃털 모양의 털이 있는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요강나물은 둥근 끈끈이 모양의 꽃봉오리가 아름다워 주로 관상용으로 활용되는데, 높은 산꼭대기의 습지 근처에서 자라는 탓에 재배하기 어려운 면도 있습니다.
한국의덩굴식물, 종덩굴, 세잎종덩굴, 검은종덩굴, 요강나물
'알아두면유용한정보 > 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을수있는 야생화종류 4가지, 어수리, 궁궁이, 구릿대, 참당귀 (0) | 2023.12.08 |
---|---|
비슷하지만다른야생화, 분홍색 한국야생화 3가지 종류 (0) | 2023.12.07 |
꿩의다리를 닮은꽃들을 모아보았습니다. 금꿩의다리, 꿩의다리, 연잎꿩의다리, 꼭지연잎꿩의다리, 큰산꿩의다리, 산꿩의다리, 은꿩의다리,참꿩의다리,돈잎꿩의다리 (0) | 2023.12.05 |
미나리아제비과 초봄에 피는 야생화는? 복수초, 가지복수초, 세복수초 (0) | 2023.12.04 |
닮은꽃모음: 자주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새끼꿩의 비름 (0)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