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꽃은 뭐지? 앵초과의 분홍색꽃 3종류

이꽃은 뭐지? 앵초과의 분홍색꽃 3종류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계절 깊은 산속에서 만날수 있는 앵초과의 비슷해 보이는 예쁜 분홍색 꽃들을 소개합니다. 앵초과는 영어로는 Primrose family로 불립니다. 이 과에는 약 1,000종의 다양한 식물이 속해 있으며,  꽃은 흔히 이화주성으로 나타나며, 꽃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깊게 또는 얕게 2개로 갈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심피는 5개로 합생하며, 태좌는 독립 중앙태좌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북반구 온대 및 냉대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몇 종은 열대 지역 및 남반구에도 분포하고 있는 꽃입니다.

 

설앵초꽃 모습
설앵초꽃 모습입니다. (사진 위키백과)

 


앵초과 식물들의 잎은 홑잎이며, 턱잎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많은 앵초과 식물들은 그들의 아름다운 꽃과 잎으로 인해 관상용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종류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자연 속에서 그들의 다채로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앵초과의 식물들은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나뉘며, 옆으로 기는 지하경을 가지고 있거나, 가끔 선점이나 가루로 덮여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앵초과의 분홍색꽃 3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앵초

전국에 분포하는 앵초는 천국문을 여는 열쇠라는 뜻의 별명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앵초과에 속하고 있습니다.

깊은 숲속 낙엽수림 밑 반그늘지고 서늘하며 낙엽이 썩어 흙이 부드러운곳에 자라는 이 식물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앵초(櫻草), 취란화(翠蘭花)로 불리는데, 한국에서는 취란화, 깨풀, 연앵초 등으로 불립니다. 앵초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약 20cm 정도로 작은 식물로, 잎전체에 가늘고 긴 솜털이 나며 얕게 주름이 집니다. 땅속에 얕게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앵초는 주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식물은 번식력이 뛰어나며 군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4-5월에는 약 2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여러 개의 홍자색 꽃이 핍니다. 특히 7월경에는 산형꽃차례를 이루면서 줄기 끝에 꽃이 달립니다. 꽃잎의 모양과 색상이 다양하여 변이가 많이 나오는데 흰꽃이 피는 흰앵초도 있습니다. 이렇 다양한 원예품종이 존재합니다.

앵초는 여름의 강한 광선, 고온, 그리고 건조에는 상대적으로 약하며,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종종 원예 활동에서 애호되는 식물 중 하나로, 그 아름다운 꽃과 풍성한 잎사귀로 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큰앵초

큰앵초는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깊은 산의 응달, 물가, 혹은 습지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각 처의 깊은 산 숲속 북향의 습기 있는 낙엽수림 밑이나 그늘에서 다른 식물과 함께 자라는 꽃입니다. 이 식물의 키는 대략 30~40 센티미터 정도이며, 전체적으로는 잔털이 덮여 있습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잎자루의 길이는 15~25 센티미터로 길게, 잎의 형태는 원형이나 심장형이며 길이와 너비는 각각 6~15 센티미터 정도입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어 특징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5월~6월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자라나 끝에서 1~4개 층을 이루는데 각층마다 진분홍색 꽃이 5~6송이씩 핍니다. 큰앵초의 꽃은 진분홍색으로 통꽃이며, 주로 7-8월에 피어납니다.  이렇게 다층으로 꽃이 배열되어 아름다운 꽃봉오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큰앵초의 열매는 삭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꽃대의 길이와 잎으 ㅣ크기가 앵초 종류 중 가장 크게 자라므로 큰앵초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특별히 꽃자루와 잎자루에 긴 털이 많이 난 종을 털큰앵초로 구분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큰앵초는 자연에서 그 아름다움을 펼치고 있는 식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설앵초

제주도와 남부지방 해발 800m 이상의 고산지대의 습기 있는 바위 위나 초원지대에서 자라는 설앵초는 곧게 서 있는 줄기와 길이 약 15cm 정도인 꽃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식물의 특징 중 하나는 잎이 밑동에서부터 밀생하며, 잎자루가 있는 대체로 구둣주걱 모양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잎의 가장자리는 특유의 이빨 모양의 톱니로 장식되어 있으며, 뒷면은 흰 연두색의 가루로 덮여 있는 것 같은 특이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아랫면은 은빛 나는 노란색 가루로 덮여 있습니다.

 


5~6월에 꽃줄기가 나오며 꽃은 엷은 자주색, 연보라색 작은꽃이 핍니다. 꽃줄기 끝에는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있습니다. 꽃자루는 길며, 작은 포가 존재합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관통에 숨겨져 있습니다. 또한, 설앵초의 열매는 삭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 모양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들을 통해 설앵초는 독특한 외모와 아름다운 꽃으로 자연 속에서 주목받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앵초과의 분홍색꽃 3종류


이런글들은 어떠세요?

썩는냄새가 나는 야생화

 

썩는냄새가 나는 야생화

썩는냄새가 나는 야생화 안녕하세요,오늘은 특별한 야생화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꽃들은 그 특유의 썩는 냄새로 유명하며,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마타리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입니

day.astrald.com

 

한국의 에델바이스, 멸종위기라고?

 

한국의 에델바이스, 멸종위기라고?

한국의 에델바이스, 멸종위기라고? 오늘은 한국의 특별한 꽃, 한라산 정상부에만 자리를 잡고 있는 한라솜다리와 솜다리꽃 종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쉽게도 이 아름다운 꽃은 현재 멸

day.astrald.com